폰이라 오타도 있을거고 두서도 없을 것 입니다
곧 정리해서 수정하겠습니다 ^^
어렵게 설명된 부분도 있는 듯 해서 정리할 예정입니다
벽조목
그것은 늘 조심스럽고 어려운 부분이기에
제겐 영원한 공부이고 숙제일 것 입니다
여전히 진행 중인 공부이기에 약간은 부족한 설명이 있을 수 있으나
아는 부분을 정리해 봅니다
벽조목에 대해 많은 분들이 여전히 모르고 있고
잘못된 정보가 있기도 합니다
네이버에서 벽조목을 검색하면
이렇게 나오죠
벼락 맞은 대추나무
대추나무만 벼락을 맞나? 왜 벽조목이 이렇게 많나?라고 말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거꾸로 생각해보죠
벽조목 가구나 하다못해 벽조목 도마를 본 적이 있나요?? 라고
벽조목이 많다는 의심을 갖는 분들이 계신데
벽조목 진품의 대부분은 목걸이 정도이며 잘해야 도장 정도 입니다
작죠
벽조목이 정말 많다면 더 많은 것들을 만들 수 있겠죠
저도 빵도마도 만들고 서럽장도 만들고 하고 싶지만 그럴만한 벽조목은 거의 없습니다
목걸이이기에 가능한 것 이죠
진품 벽조목 몇그루만 있어도 대한민국 국민 모두 하나씩 갖을만큼의 목걸이는 나올 것 입니다
그러나 그만큼 만들 벽조목은 저도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대부분 무른 나무가 많습니다
그런 경우 껍질이 벗겨지거나 부러지기에 벼락맞은 근거가 찾기 어려워집니다
또한 의미가 별로 없기에 귀하게 무엇을 만들만한 소재가 되지 않습니다
대추나무나 느티나무 정도의 강도는 있어여 흔적이 남는 경우가 많고 소재로서의 가치가 있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며
벼락을 맞았을때 가장 의미와 가치가 높아지는게 대추나무이기에 귀한 소재로 쓰이는 것 입니다
인조벽조목이 대부분이다??
인조는 전기로 압착하여 만들어진다고 하는데
대부분 열프레스로 누른게 아닌가 싶습니다
대추나무를 열을 가해 압착하는 것을 인조라는 단어를 붙혀 벽조목이라 하는것 자체가 사실을 말이 안됩니다
압착 대추나무? 정도로 말하는게 맞겠죠
그러던 것이 어느날부터 ‘인조’라는 단어는 사라지고 벽조목이라고 상품들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인조벽조목은 열로 압착했기에
색이 탁하고 어둡고 붉은기가 없기에 구별이 싶습니다
또한 압착을 하였기에 100% 물에 가라 앉습니다
‘벽조목은 물에 가라 앉는다’ 라는 와전된 이야기에 착안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또한 의미나 가치가 없습니다
벽조목은 붉은 톤이 돌며 연한 부분 짙은 부분 등 다양한 색톤이 자연 상태에서 나오며 그렇기에 작은 목걸이 하나에도 여러 톤이 들어있기도 합니다
‘벽조목은 물에 가라앉는다’
이것은 와전된 이야기입니다
물론 가라앉는 것도 있습니다
같은 나무를 잘라서 담가보면 부위에 따라
가라앉고 뜨는 것도 있습니다
잘라서 넣어보면 전체 다 가라앉는 원목도 있고
잘라서 넣은 것 중 반은 가라앉고 반은 뜨는 것도 있습니다
벽조목을 어디서 들어본 사람은 대부분 물에가라앉아야 진품이다 이렇게 알고 있습니다
물에 가라앉는 나무의 비중은 1 입니다
대추나무의 비중은 목재 데이터로는 0.93 전후 입니다
대추나무가 강원도 산간의 추운 지역에서 척박한 땅에서 자라면 벼락을 안맞아도 1이 됩니다
반대로 따뜻한 남쪽지방에서 토질 좋안 곳에서 햇빛 잘 받고 자라면 0.9 전후로 비중이 낮습니다
즉 대추나무 상태에서도 물에 가라앉는 것이 있고 뜨는 것이 있는 것 입니다
비중 0.95 되는 대추나무가 벼락을 맞으면 1이 넘어서
물에 가라앉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비중이 0.9정도이거나 이하인 경우 대추나무가 벼락을 맞으면
맞은 부위 정도를 제외하면 비중이 0.95 정도로만 무거워지기에 물에 가라앉지 않습니다
물에 가라앉는 벽조목 부위가 있고 전체 그런 경우도 있지만
무조건 가라앉아야 진품이다는 와전에 의한 것이고 물에 가라앉아야 좋은 벽조목도 아닙니다
제가 오래전 맨 처음 접한 대추나무는 벽조목이 아님에도 물에 가라앉았습니다
대추나무 자체가 비중이 1이 넘는 것이죠
그렇다고 벽조목은 아닙니다
물에 가라앉고 인조도 아니니 벽조목이다 라고 우길 수 있겠으나 벽조목이 아니며
그래서 더욱이 물에 가라앉는걸로 판단해서는 안되는 것 입니다
특히 물에 가라앉는 벽조목의 경우 색이 대체로 검은톤이 강하기에 악세사리로는 더 좋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밤색톤의 대추나무가 벼락을 맞아 붉은 톤이 된 것을
저는 악세사리로는 더 가치 높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벽조목의 의미와 붉은 색감, 색감이 주는 힘 등이 매력이지
나무가 물에 가라앉느냐는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벽조목이 무조건 물에 가라 앉는다...
그런 벽조목도 있지만
모두 매번 그렇다면 인조 벽조목 뿐 입니다.
그것으로는 진위여부와 무관합니다.
가라앉는가에 촛점을 맞추면 오히려 인조를 좋게 착각 할 수 있다는 걸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벽조목의 진품의 구별이 어려운건 인조와의 비교가 아니라 고사되어 아주 오래 숙성된 대추나무입니다
대추나무가 죽어서 오래되면 벽조목과 비슷한 느낌이 들곤 합니다
그래서 자르기 전의 원목 상태 확인이 필요하기도 하고
색톤이나 작업시의 특징 등을 확인하기도 합니다
물론 그런 오래된 대추나무도 흔치는 않습니다
이 부분이 진품구별이 어려운 것이지
인조벽조목과는 색부터 확연한 차이가 보입니다
인조벽조목인가요? 묻는 분들은 색이 다름을 아시면 쉬울 듯 합니다
인조벽조목의 경우 그 가치가 없기에 수공예가 아니라
대부분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들어 저렴하게 뿌려지고 있습니다
참고로 인조벽조목이 나무가 나쁘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강도가 높고 강해야 하는 부분에는 좋은 목재 일 수 있습니다
100% 물에 가라앉을만큼 강도가 있죠
다만 그것은 벽조목은 아닙니다
또한 나무를 조금 아는 분들은 색 만으로
벽조목이 아님을 알기에 그것을 손대는 일은 없습니다
80년대 이후 벼락이 쳐도 나무가 아니라 전봇대에 대부분 밎게 되며
예전처럼 대추나무가 마당에 있고 동네마다 있던 시절도 아닙니다
즉 벼락이 나무에 치기도 어려운데 대추나무 자체가 없습니다
어쩌다 한번 벼락이 맞았다한들
토종 대추나무가 아니라 대추 재배 나무 재래종입니다
그래서 벽조목은 대부분 80년대 이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즉 구하기 어렵습니다
벼락을 맞으면 껍질만 벗겨진다
그냥 부러진다 등 벽조목처럼 되지 않는다 라는 오해.
이 부분은 벼락을 맞는 수종과도 관계가 있기도 하고 실제 벼락의 종류도 음 양으로 나뉘며 종류도 많기에 모두 다른 현상이기도 합니다
몇년전 수락산의 큰 불이 결국 벼락맞은 소나무 때문이라는 역학조사가 나왔었죠
불이 붙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 증명 된 자료가 됩니다
자료를 증명하길 좋아하는 분들이 많기에 이 부분은 참고가 되겠지요
연목질의 경우 껍질이 벗겨지거나 꺽여 부러지는 경우, 또 폭탄을 맞은 것처럼 터져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강목질의 경우 불이 붙거나 순간 타는 자국을 남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마도 수락산의 소나무는 강질의 조선소나무이며 오랜 세월을 강하게 견뎌낸 나무 일 것으로 추측됩니다
유튜브에 보면 불이 붙거나 터져버리거나 껍질이 벗겨지는 여러 상황을 해외 영상에서 볼 수 도 있습니다
저는 벽조목의 붉은 색톤을 좋아합니다
그리고 그 상처와 아픔들이 끌렸던 듯 합니다
벽조목 레진 겨울왕국 목걸이 (0) | 2020.04.30 |
---|---|
나무에 접목한 시도들 / 운석 별똥별 텍타이트 금 은 레진... 테스트와 결과물 (0) | 2020.04.29 |
내추럴 그대로 벽조목 나무목걸이 (0) | 2020.04.28 |
벽조목 가지 그대로의 목걸이 (0) | 2020.04.28 |
벽조목 커팅 각도 반지 (0) | 2020.04.27 |
댓글 영역